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I서평

(2)
새로운 질서 (헨리 A. 키신저, 에릭 슈미트, 크레이그 먼디) 『새로운 질서』 — AI와 지정학, 기술과 권력의 경계에서헨리 키신저, 에릭 슈미트, 크레이그 먼디. 이 세 사람의 이름만 들어도 책의 방향이 감이 온다. 국제정치의 거물, 실리콘밸리의 전설, 그리고 기술 전략의 설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논한 주제는 다름 아닌 ‘AI 시대의 새로운 세계 질서’다. 『새로운 질서』는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이 국제정치, 경제, 사회 구조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를 다각도로 분석하며, 우리가 맞이할 미래의 그림을 그린다. 1) 기술이 외교의 언어가 되는 시대책의 첫 부분에서 키신저는 전통 외교와 안보의 시선으로 AI를 바라본다. 그는 냉전 이후의 세계가 ‘핵 억제’라는 질서 속에서 유지되었다면, 앞으로는 ‘기술 주도권’이 새로운 억제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A..
듀얼 브레인 (이선 몰릭) 『듀얼 브레인』 — 인간과 AI, 두 개의 뇌로 생각하는 시대AI가 단순히 작업 속도를 높여주는 도구였던 시기는 이미 지났다. 이선 몰릭의 『듀얼 브레인』은 “인간의 뇌”와 “AI의 뇌”를 결합해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고 창의성을 확장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AI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사고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계하며, 단순 기술서가 아닌 ‘사고방식 전환서’에 가깝다. 1) 듀얼 브레인, 무엇이 다른가저자는 AI를 ‘제2의 뇌’로 바라본다. 과거에는 인간이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모든 단계를 직접 담당했지만, 이제는 AI가 방대한 데이터 처리와 패턴 분석을 대신하며 인간은 더 높은 수준의 판단과 창조적 결합에 집중할 수 있다.인간의 강점: 직관, 맥락 해석, 윤리적 판단AI의 강점: 대규모..

반응형